카테고리 없음
말과 생각 그리고 이야기
칡뫼
2022. 6. 9. 22:08

사실 유명화가들을 배우고 미술사 등을 공부하면 할수록 그림이 어려웠다. 세상의 모든 것은 이미 다 그려져 있었다. 도대체 무엇을 그려야 한단 말인가? 그렇다면 그림의 시작점에는 과연 무엇이 있을까? 몽고 초원의 암각화, 알타미라 동굴 벽화, 스페인 라스코 벽화 등 원시 미술에 혹시 답이 있지 않을까. 논리로 오염되지 않은 선사시대 작품에는 미술의 원형질이 있지 않을까. 그런데 어느 곳보다 완벽한 선사시대 미술이 우리에게도 있었다. 바로 1971년에 발견된 반구대와 천전리 등 암각화들이다. 학문적인 해석에 앞서 화가 입장에서 그림을 보기로 한다. 당시 화가들의 마음과 생각을 유추함으로써 진행되는 나의 작품과 앞으로의 작업에 힘이 되기를 내심 바라는 것이다.
그곳에는 이야기가 있었다. 천전리 그림은 아직 해석이 안 되는 형상이 많지만 특히 반구대 작품은 나름 해석도 가능하고 그들의 생활상도 엿볼 수 있다. 묘사의 구체성 때문이다. 하지만 반구대 그림을 새긴 작가는 묘사가 목적이 아니었다. 즉 고래를 그린 것이 아니라 '고래는 우리들의 식량이며 잡는 방법은 이렇고 길이 보전해야 할 삶이며 앞으로도 영원하면 좋겠다.'를 그렸던 것이다. 그림이 곧 말과 생각이고 이야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