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점봉산 곰배령 야생화
봄꽃은 지고 여름꽃이 시작되는 6월 입니다
야생화로 유명한 점봉산 곰배령을 다녀 왔습니다
1일 300명 정도 입장인데다 예약제여서 달포전에
미리 예약을 했습니다 그런데 올해부터 600명으로 됐다는군요
어쩐지 생각보다 붐볐습니다
맨 먼저 <터리풀>이 반겼습니다 우리나라 특산종이죠
이맘 때부터 피기 시작하는 여름꽃입니다
이건 <지리터리풀>인데 조금후면 만개할 겁니다
지리산에서 발견 됐다하여 <지리터리풀>입니다 전체적으로 붉은 꽃이 피죠
<지리터리풀> 줄기
이 꽃은 <은꿩의다리> 라는 꽃입니다
우리나라 야생화 이름에는 꿩자가 들어간 게 유난히 많죠
예를 들면 꿩의바람꽃. 꿩의비름, 꿩의다리. 꿩의밥 등등
<은꿩의다리>
<은꿩의다리>잎 모습입니다
많은 풀과 함께 <붓꽃>도 보였습니다
이건 잘아시는 <백당나무>고요
이건 <지느러미엉겅퀴>와 <긴꼬리제비나비>입니다
<지느러미엉겅퀴>는 일반 엉겅퀴와 달리
줄기에 가시가 지느러미 형상으로 달려있죠
나비는 <모시나비>입니다
봄꽃 <산괴불주머니>도 꽃이 지고 있었습니다
아 이건 <자작나무> 열매입니다
이건 <으아리>꽃 인데 꽃처럼 보이던 하얀꽃받침이 떨어진 모습으로 보입니다
언듯 <사위질방>처럼 보이는데 아닙니다.
이건 <장구채>입니다
< 괭이사초>
이건 먼저 보여드린 <반하> 입니다
이건 <말냉이> 열매입니다
부채모양속에 열매가 들어있죠
이건 <소리쟁이> 열매고요
이건 <벌깨덩굴>인데 꽃이 졌네요
<벌깨덩굴> 씨방만 남은 모습
원래 이런 모습이었죠
이건 <도깨비부채>입니다 잎이 특이하죠
<도깨비부채>
이게뭘까요 한참만에 알아냈습니다 <고추나무>열매네요
<고추나무>
언듯 양지꽃을 닮았죠 이건 <큰뱀무>라는 식물입니다
<큰뱀무>
이건 보신 분도 많으실 겁니다 대나무 형상이죠
<속새>란 식물입니다
이게 뭘까요 <동의나물> 입니다 열매 맺은 모습이죠
잎을 보시면 곰취와 거의 닮았죠 동의 나물은 잎의 결각이 부두러운데
이 정도론 초보자는 구별이 쉽지 않습니다
동의나물은 대표적인 독초라 곰취와 혼돈하여 사고가 나기도 합니다
꽃은 이렇게 피죠
이모습은 꽃이 지고 씨 맺은 모습입니다
홈이 파진 부분에 씨가 들어있다가 쏟아지죠
<동의나물>
아 반갑네요 <범꼬리>입니다
주로 7월쯤 만개하는 꽃인데 볼 수 있었습니다
<범꼬리>
괭이눈
이건 <관중>이란 식물입니다
<관중>
반갑게도 거의 지고있는 <감자난초>를 만났습니다
아 <광대수염>이네요 이것도 거의 지고 없었습니다
꽃받침에 수염처럼 생긴 것이 보이시죠 그래서 광<대수염>입니다
<골풀>과 함께 <미아리 아재비>가 피어있었습니다
요즘 한창인 <초롱꽃>입니다
이게 뭘까요 바로 <조릿대> <산죽> 꽃입니다
한창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귀하게 만났네요
또 궁금한 게 있었습니다 이게 뭘까요 <얼레지> 열매 입니다
<얼레지> 열매
봄에 꽃이 피어있는 모습의 <얼레지>사진입니다
한참 오르다 보니 고사목 뿌리 등걸이 보였습니다 이 정도면
앞으로도 몇 십년은 더 버티겠죠 사람은 죽어 쉬 잊혀지는 데--
<박새>란 식물입니다
꽃은 이렇게 핍니다 독초입니다 <박새>
<모시풀>
이와 비슷한 <거북꼬리>란 풀 도 있지요
이건 <말나리>인데 꽃을 필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말나리>
이게 뭘까요 <삿갓나물> 입니다 벌써 열매를 맺고있네요
<삿갓나물> 독초로 조심해야 합니다
이렇게 봄꽃은 나무의 잎이 무성해 지기 전에 꽃을 피고 열매를 맺죠
그리고 자리를 피해 줍니다. 같은 좁은 땅에서
여러 식물이 살 수 있는 이유입니다
<꼭두서니>
<둥글레>도 보이네요
이게 <눈개승마> 입니다
눈개승마
이건 잎을 보니 나비나물 종류가 아니고 <선등갈퀴>로 보입니다
곰배령 정상의 모습입니다
아 반가운 <쥐오줌풀>이네여
<쥐오줌풀>
<쥐오줌풀>
<쥐오줌풀>과 <모시나비>네요
이건 꽃이 진 <연령초> 로 보이네요
이번 산행에서 보고싶던 꽃이 드디어 눈앞에 있네요 <요강나물>이라고 하는
<선종덩굴>입니다
<요강나물> 대부분의 꽃이 밝고 화려한 데 비해 종덩굴류는 꽃색이 어두운 편입니다
이렇게 꽃을 피면 영낙없이 종 모양입니다
그래서 전 <요강나물>이란 이름보단 <선종덩굴>이란 이름으로 부르길 좋아합니다
선이라 줄기를 곧추세웠다는 뜻이죠
실은 종덩굴에도 종류가 많습니다
<선종덩굴> <요강나물>
요강나물 선종덩굴
열매를 맺은 모습이죠 <요강나물>. <선종덩굴>
이건 <참삿갓사초>로 보이네요. 사초는 공부할수록 어렵습니다
이건 <개다래>꽃입니다
잎에 부분적으로 흰색이 있는 게 특징이죠 <개다래>꽃
곰배령 정상입니다
곰배령은 우리나라 희귀식물, 멸종위기종이 많이 모여있는
중요한 곳이죠.. 아끼고 보살펴야 할 곳입니다
자연은 항상 아름다움과 안식을 줍니다
우리가 자연의 산물이기 때문이죠 .
-6월초 점봉산 곰배령에서
-칡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