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든 다녀와서

파주 출판문화단지

칡뫼 2012. 9. 23. 20:14

 

 

  파주 출판문화단지에서

<추억의 그 잡지> 전시회가 열려

 오랜만에 아내와 함께 다녀왔습니다

 

 

    보시다시피  날씨가 맑았습니다

 

 

                       이 건물이 아세아출판문화센터입니다

 

 

                                   한옥과 대조를 이뤄 담아보았습니다

 

 

                                    마지막 날 저녁이라 파장분위기였지만

                                                 사람이  아직 많았습니다

                                  건물로 들어가는 입구 분위기입니다

 

 

 

                                        전시회 안내 작은 현수막이네요

 

 

잡지 여원표지 그림에서 차용한 카다록이죠

 

<소년>은 1908년 11월 1일에 창간한  최초의 청소년 잡지입니다.

진정 잡지다운 근대잡지의 효시입니다. 잡지의 날도 여기서 비롯되죠

사진은 우리나라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 입니다

 

최초의 잡지 형식은 1896년 11월 발간한 <대죠선독립협회회보>인데

1년을 못채운 짧은 수명이었죠

이어 등장한 <대한자강월보>가 1906년 나왔는데 최초의 정치잡지입니다.

이 곳에 그 유명한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이 실렸죠

 

          1914년 창간한  현상문예를 최초로 도입한 <청춘>은 300면을 넘는 두께와

                             진정 종합잡지의 면모를 갖춘 최초의 잡지였습니다

 

 

                                     1923년 발행한 <어린이>는

                                        방정환 선생님이 주재한 본격 아동잡지였죠

                                        최남선이 이루었던 소년문학을 이은

                                            아동문학의 시작이었던 셈이죠

 

 

 

 

 

 

     이 사진은 1961년 창간된 <수필>의 펼친 사진입니다.

             수필이란 제호의 최초의 잡지죠

              박경리 선생의 <소설을 쓰는 마음>이란 글이 보입니다

 

 

 

                       골판지 종이로 만든 코끼리네요

 

 

                   제가  창간호부터 보던 <뿌리깊은 나무> 도 보이네요

                            정기구독하던 <마당>도 보여 반가웠습니다

 

 

                    골판지를 이어붙인 종이 의자 편하고 좋앗습니다

 

 

 

              미술잡지가 없던 시절  <계간미술>, <공간> <열화당문고> 등은

                            저의 미술지식을 채워주던   선생님이었죠.

 

 

 

                            연주회도 있었습니다

 

 

 

 

 

                               옆에서는     한글을 주제로 <한글나들이> 

                                       전시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출판문화단지 모형

 

 

 

 

 

 

                                                         누구일까요?

 

                                    제가 박물관 좀 다녔는데 한글이 새겨진 떡시루는

                                                         오늘 처음 보았습니다

 

 

 

                                          이건 버선 본인데 

                                            거기에 여러가지 기복의 글을 써 놓았네요

                                            버선 본을 뒤집어 길흉화복에 대처하는

                                               글을 써 효험을 기대한 듯합니다

 

 

                                                  

                                                버선 모습에 쓴 한글 서예작품.

                                                      부채와 또 다른 맛이 있네요

 

 

                                      한글이 써진 해주항아리

 

 

                     구경하다보니 저녁나절이었습니다.

 

                        늦게 찾아 관람시간을 넘기며 구경했지만

                      너무 많은 볼거리를 자세히 보지 못한 아쉬움이 컷습니다

                       서산에 해는 지고 시간은 당신을 기다려 주지 않는다는 명제는

                                      늘 정확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9월 23일 파주에서  김형구가 찍고 적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어디든 다녀와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늘공원 스케치  (0) 2012.11.18
용문사, 사진 스케치  (0) 2012.10.23
만남 --강릉을 다녀와서  (0) 2010.03.11
강릉을 다녀와서  (0) 2010.02.20
기축년이여 안녕  (0) 2009.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