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일찍 작업실에 내려와 마당청소를 했다. 엊그제 까지만 해도 움츠렸던 복사꽃이 오늘 보니 환하게 피어있다.
맞아 이맘때였어. 난
복사꽃만 보면 돌아가신 할머니 할아버지 생각이 난다.
ㅡㅡㅡ
아침에 보니 정화수가 솟구쳐 ‘하늘 고드름’이 되어있었다. 그날 밤에도 할머니는 장독대에 정화수를 떠 놓고 비셨다. 두 손을 모아 빌며 연신 머리를 조아리고 주문처럼 무슨 말인지 하셨다. 가끔 '천지신명'이란 말이 들리기도 하고 얼핏 '비나이다' 소리도 들렸다. 궁금해 쪽 유리창에 얼굴을 바짝 붙여 보았지만 소리는 더 들리지 않고 절하는 모습만 보였다. 사락사락 내리던 싸락눈이 포실한 함박눈으로 변할 때쯤 할머니는 방으로 들어오셨다. 내복차림으로 반가워 폴짝 뛰는 나를 힘껏 안아주셨다. 머리 위에 내렸던 눈이 녹아 비녀를 적시고 있었다.
"아이쿠 내 새끼"
할머니의 토닥거림에 그때서야 나는 다람쥐처럼 이불속으로 쏙 들어갔다.
눈이 소복이 내리고 겨울밤은 깊어갔다. 동네 개가 심하게 짖었다. 안마당에 있던 우리 개 '도끄'도 덩달아 짖어댔다. 갑자기 밖이 시끄러웠다. 누군가 낯선 이라도 나타났을까.
"뽀드득뽀드득"
길 지나던 발자국 소리가 마당을 가로질러 우리 집 대문 앞에서 멈췄다. ‘도끄'가 더 크게 짖어댔다. 나는 무서워 이불속에서 바짝 웅크린 채 귀를 세웠다. 낮에 보았던 '한 손이 쇠갈고리로 된 사람일지도 몰라' 생각을 하니 더 무서웠다.
"그 뉘슈?"
사랑채 할아버지 목소리가 들릴 때쯤 벌써 할머니는 남폿불을 밝히고 마루에 나가 계셨다.
"눈이 많이 와서요, 산 너머 '남장골' 가는 객인데 잠자리 좀 청하려구요."
굵은 남자 목소리가 대문간을 울렸다. 할아버지께서 대문을 열자 돌쩌귀 소리가 유난히 크게 들렸다. 길손이 어깨며 발에 묻은 눈을 소리 내어 털고 사랑채에 들고 나서야 할머니는 방에 들어오셨다. 그리곤 무슨 일인지 긴 한숨을 지셨다.
할머니는 밭일 중에도 동네어귀 '회나무재'에 낯선 이라도 보이면 호미를 든 채 한참을 바라보곤 하셨다. 6.25 전쟁 통에 행방불명된 큰아들을 기다리고 계셨던 것이다. 늦은 밤 대문 앞에 이른 이를 행여 아들이라 생각하신 것일까. 낮이건 밤이건 멀리 개 짖는 소리가 들리면 아들이 오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셨지 싶다. 누워서도 한동안 잠을 못 이루고 뒤척이시던 할머니를 보았던 유년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그날 할머니는 소란에 선잠이 든 나를 꼭 끌어안고 주무셨던가.
그 뒤로도 나는 끝내 큰아버지를 뵐 수 없었다. 몇 해가 더 지났을까. 복사꽃이 흐드러진 어느 봄날 할아버지는 면사무소에 가셔서 큰아들 사망신고를 하셨다. 하지만 그 이후로도 끼니마다 할머니께서 묻어 두었던 밥주발은 계속 아랫목을 차지하고 있었다.
ㆍ
할머니의 기다림 2013년
ㆍ
화문집 <고양이처럼 출근하기> 수록 글
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