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이야기

망초 개망초를 비롯한 외래종

칡뫼 2012. 6. 16. 22:13

 

우리나라 같이 토목공사가 많은 나라도 없지 싶습니다

새로 난 길이 있고 근처 개활지엔 흙이 드러나 풀씨를 뿌려 놓죠.

그런데 자라는 걸 보면 대부분 외래종 식물입니다

자극적이고 화려하기도 하지만

어떤 때는 너무 튀어보여 어지럽기까지 합니다

굴포천 운하근처에서 담아보았습니다

핑계삼아 공부 좀 해보죠

 

 

 

                                       이게 망초입니다

                                       귀화식물로 이젠 토착화됐다고 봐야합니다

 

                                           한일강제병합때 많이 번져 망(亡)초란 이름이

                                              붙었다고 되어있습니다

 

                                       망초대란 말이 있는것처럼 기다랗게 서 있죠

 

 

                                              특별히 볼품도 없고 무시당하고 살죠

 

 

                                               밭에서야 당연히 뽑혀야하는 풀이구요

 

                              그래선지 아무땅에서나 이렇게 잘자라는 망초입니다

 

 

망할놈의 망초란 말이 자연스럽게 농부입에서 나왔죠.

 

                                              

 

                                                 꽃도 작고  볼품없지만

                                                  악착같은 생명력이 자랑인  망초였습니다

 

 

그에 비해 꽃이 조금 크고 다르다고 개망초입니다

 

 

                        먼지 같은 꽃을 다는 망초에 비하면 개망초는 그야말로 꽃 답죠

 

                                                      등애도 찾아오고요

 

 

                                                   그나마 사랑과 관심을 부르는  개망초입니다

                                                        망초개망초 확실히 구별하시겠죠

 

 

 

                                                  기생초라 불리는 외래종 국화과 식물입니다

 

 

                                                  한강변에도 많이 심어놯죠

 

 

                                                                          기생초입니다

 

 

                                                             붉은토끼풀도 끝물이네요

 

 

 

                                                             이건 수레국화입니다

 

 

                                                          수레국화

 

 

 

                                      이건 자주개자리라는 사료용 식물인데

 

 

                                            요즘   자주 보이죠                               자주개자리

 

 

 

                            마찬가지로 사료용  콩과식물    흰전동싸리입니다

 

 

                                                       흰전동싸리

 

 

 

                                               소리쟁이는 완전히 열매맺고 벌써 가을이네요

 

 

                                            잘 아시는 금계국입니다

 

 

 

 

                                        패랭이 인데 우리 토종은 아니고 귀화종이네요

 

 

                                          지칭개가 씨를 다 날린 모습입니다

 

 

 

                                                개양귀비(꽃양귀비)구요

 

 

 

                                        이것도 외래종 끈끈이대나물이란 식물인데

                                             꽃대 밑에 줄기에 끈적이는 부분이 있어 벌레가

                                                       못 올라오게하죠

 

 

                                                 그 유명한 미국자리공 입니다

 

 

                                                  미국자리공 꽃과 열매입니다

 

                               이상과 같이 흔히 보이는 풀도 외국에서 건너와 

                                        자리잡고 사는 것이 너무나 많습니다. 우리 정서와 잘 맞는

                                                코스모스가 대표적이죠. 우리 땅에 온 이상 사랑하고

                                                  잘 가꾸어야겠죠. 생태교란종으로 지목된 것도 있지만

                                                    한 식구처럼 이제 전세계 식물이 섞이고 있는 시절입니다

                                                                                          칡뫼

 

 

 

 

'야생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월초의 꽃  (0) 2012.07.01
우리집 대문 능소화  (0) 2012.06.27
6월의 꽃  (0) 2012.06.10
5월의꽃  (0) 2012.05.18
어쩌란 말이냐  (0) 201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