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스케치

엄나무 붓받침

칡뫼 2014. 10. 21. 12:10

                                         

              

                                  

엄나무 붓받침.hwp

   

                                           

                                            20대 초반에는 

                                            그저 마루에서 건 방에서 건 종이를 펴고 닥치는 대로 그렸었다

                                            표구사를 겸하고 작업하던 시절에는 일이 끝나면 가게가 밤샘 작업실이었다

                                            열정이 넘치던 습작시절이었다

 

 

                                           

                                            사랑하는 이를 만나 결혼했다. 가정을 꾸리니  먹고 사는 일이 걱정이었다

                                            장사를 시작했는데 돈 버는 일과 예술 활동을 같이 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이었다. 

                                            하지만 그림을 놓을 수 없어 가게 건물옥상에 작업실을 가졌었다. 

                                            천막을  겨우 친 노천이다 보니 겨울엔 춥고  여름엔 더워 그도 쉽지 않았다.

     

 

                                      

                                       더군다나 집에서는 한동안 부모님과 함께 살았고  자식도 태어나니

                                       살림살이가 있는 작은방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었다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그 많은 우여곡절 끝에 다시 붓 잡고 그림을 그린다

                                          

                                           

                                          

 

                                              

                                               딸이 대학졸업 후 직장을 다니는 관계로 딸 방을 쓰는데 

                                               내가 퇴근하고 나서부터 딸이 퇴근하기 전까지가 나의 작업시간이다.

                                               딸이 친구를 만나 늦게 들어오면 난 더 많은 작업시간을 가질 수 있다

 

 

           

 

             디자인을 전공한 딸은 내 작업을 이해해 주지만 애비는 눈치가 보인다.

             생업현장인 고향 농장에는 터도 있고 공간도 많지만 화실을 꾸리지 않았다 

             일이 많아 근무 중에는 그림 작업이 안 되기 때문이다

 

              언제쯤 전업 작가로 그림에만 몰두할 수 있을까

              평생을 달고 다닌 나의 숙제다

             

 

                                         

 

                                          장소를 따질 필요 없이 잠시라도 그림을 그리는 순간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된다

 

 

                                          

                                               아직은 아니지만

                                               나만의 작업실을 가질 수 있다는 꿈이 있어 행복하다

                                           

 

                                            

 

                                             생업과 창작사이에서 줄타기 한 세월은 고뇌의 시간이었다

                                             그림을 위해  나를 담금질하고

                                             냉혹하게 절제해야 하는 생활태도를 가져야했지만

                                             쉽지 않았다.  

 

                                             

 

                                             나 자신을 엄하게 다루려는 마음으로

                                             엄나무 가지를 붓받침으로 쓴다

 

 

 

 

                               

 

                                저 가시의 날카로움은

                                나를 긴장시키고 냉철한 사고를 요구한다.

                                현실과 맞서 고뇌하고  깊이 성찰하는 삶을 살라는

                                나 자신에 대한  엄중한 경고이자 

                                따끔한 격려인 셈이다

                                 

                                   --2010 년 칡뫼  김구--

 

 

                                            생각해 보니

                                          제대로 된 작업실을 가져본 기억이 없다.

                                          요즘은 그래도 그림 그릴 수 있어 행복하다

 

                                           

                                            20대 초반에는 

                                            그저 마루에서 건 방에서 건 종이를 펴고 닥치는 대로 그렸었다

                                            표구사를 겸하고 작업하던 시절에는 일이 끝나면 가게가 밤샘 작업실이었다

                                            열정이 넘치던 습작시절이었다

 

 

                                           

                                            사랑하는이를 만나 결혼했다. 가정을 꾸리니  먹고 사는 일이 걱정이었다

                                            장사를 시작했는데 돈 버는 일과 예술활동을 같이 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이었다. 

                                            하지만 그림을 놓을 수 없어 가게 건물옥상에 작업실을 가졌었다. 

                                            천막을  겨우 친 노천이다 보니 겨울엔 춥고  여름엔 더워 그도 쉽지 않았다.

     

 

                                      

                                       더군다나 집에서는 한동안 부모님과 함께 살았고  자식도 태어나니

                                       살림살이가 있는 작은방에서는 작업을 할 수 없었다

                                          

                                          

                                          

                                          

                                          

                                           세월이 많이 흘러

                                           이제 그 많은 우여곡절 끝에 다시 붓잡고 그림을 그린다

                                          

                                           

                                          

 

                                              

                                               딸이 대학졸업 후 직장을 다니는 관계로 딸 방을 쓰는데 

                                               내가 퇴근하고 나서부터 딸이 퇴근하기 전까지가 나의 작업시간이다.

                                               딸이 친구를 만나 늦게 들어오면 난 더 많은 작업시간을 가질 수 있다

 

 

           

 

             디자인을 전공한 딸은 내 작업을 이해해 주지만 애비는 눈치가 보인다.

             생업현장인 고향 농장에는 터도 있고 공간도 많지만 화실을 꾸리지 않았다 

             일이 많아 근무중에는 그림작업이 안되기 때문이다

 

              언제쯤 전업 작가로 그림에만 몰두할수 있을까

              평생을 달고 다닌 나의 숙제다

             

 

                                         

 

                                          장소를 따질 필요없이 잠시라도 그림을 그리는 순간은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람이 된다

 

 

                                          

                                               아직은 아니지만

                                               나만의 작업실을 가질 수 있다는 꿈이 있어 행복하다

                                           

 

                                            

 

                                             생업과 창작사이에서 줄타기 한 세월은 고뇌의 시간이었다

                                             그림을 위해  나를 담금질하고

                                             냉혹하게 절제해야 하는 생활태도를 가져야했지만

                                             쉽지않았다.  

 

                                             

 

                                             나 자신을 엄하게 다루려는 마음으로

                                             엄나무 가지를 붓받침으로 쓴다

 

 

 

 

                               

 

                                저 가시의 날카로움은

                                나를 긴장시키고 냉철한 사고를 요구한다.

                                현실과 맞서 고뇌하고  깊이 성찰하는 삶을 살라는

                                나 자신에 대한  엄중한 경고이자 

                                따끔한 격려인 셈이다

                                 

                                   --2010 년 칡뫼  김구--

 

 

                                                                          

                                           

                                          

 

                                              

                                         

 

 

엄나무 붓받침.hwp
1.37MB
엄나무 붓받침.hwp
1.37MB

'삶의 스케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 영화학교 <밀짚모자>  (0) 2015.05.09
2015년 해맞이  (0) 2015.01.01
을지로 미스양  (0) 2014.09.24
내가 빚은 송편  (0) 2014.09.07
시 낭송회  (0) 2014.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