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상평

박성식 전

칡뫼 2016. 3. 3. 06:16

 

 

 

 

 

                  하루에도 수 많은 곳에서 전시회가 열립니다 

                  자칭 화가도 별과 같이 많은 세상입니다

                  하지만 풍요속의 빈곤일까요

                  눈 높이에 따라 다르겠지만 좋은 작품을 만나기는

                  명동에서 고향사람 만나기 만큼 어려워진 세상입니다.

 

                 오랜만에  내 작은 눈이 크게 떠지는 작품을 만났네요.

                 인사동 갤러리 루벤에서 하는 화가 박성식 작품전 입니다

                

                  아래 글은 물론 나의 주관적인 감상평입니다

                 거듭 말씀드리지만 그림은 보는 사람이 주인입니다.

                 

                작가를 비롯해 그 누구도  관객의 느낌을 재단할 수 없습니다

                 이 점이 예술이 존재하는 이유겠죠

                 그래서 제가 이렇게 겁없이 떠듭니다.

                 

                 

 

                                                                              

 

                                 우선 그의 그림은 평면이 아닙니다

                                 두꺼운 캔버스가 어떤 사물의 모습을 한 채 깊이 패여있습니다.

                                그리고 빈 공간 처럼 흰색이 칠해져 있기도 하고  

                                 또 다른 색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고요.

                                

                                 패인 캔버스는 일반의 평면과 다르니

                                 작가에게 이 점이  중요한 포인트일 겁니다

                                 즉 작가의 생각을 담는 중요한 그릇인 것이 분명하죠

                                 이제 그림을 감상해 보죠

                                

 

 

 

 

 

 

 

 

 

 

 

 

 

                                       위에 열거한 그림을 보셨죠.

                                      소파 위에는 사람이 머물렀던 흔적이 음각으로 패여있습니다.

                                       하지만 소파는 그런 일이 언제 있었냐는 듯이  태연히 파인공간을 자기 모습과 색으로 자리잡고 있네요

                                        정면에서 보면 그 점이 잘 드러납니다

                                        하지만 옆으로 보면 패인 흔적이 더욱 선명해지며 

                                       과거의 일을 기억해 내고 있습니다

                                       즉 누가 앉았던 곳이라고 말하는데 그 인물은 보는 시선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보여지며

                                        한 사람이 아니었다고  아니면 똑같은 포즈가 아니었다고 증언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이 세상 모든 사물은 지금 보여지는 모습이 있기까지

                                                    어쩜 수많은 흔적을 함유 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작가는  그 점을 그려내고 싶었을까요?

                                                    시간이랄까 , 흔적이랄까

                                                    보여지는 시공간의 내면을 보여주려고 했을까요.

                                                    우선 그림을 보고 떠오르는 생각이었습니다

                                                    아무튼 다시 또 그림을 봅시다

                                                   

 

 

 

                        

                                     

                                      이 작품은  숲 이란 작품인데 

                                      숲은 음각으로 파인 나무 모습을 품고 있습니다

                                      하지만 눈을 지그시 감고 보면

                                      음각의 나무는 광선에 따라 다시 튀어나와 보여지는 역설을 연출하는데요

                                     

                                       숲에서 본질은 나무다.

                                       나무가 모여 숲을 이룬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숲의 역사 속에는 나무의 영령이랄까 그 흔적을 품고 있다고 말하는 것 같기도 하죠

 

                                      나무를 보고 숲을 못보는 것도 문제지만

                                      숲의 본질이 나무라는 것도 모르면 안 되는 것 아닌가요.

 

 

 

 

 

 

 

 

                                                이 그림은 음각인데도 사진에서는 양각으로 보이죠

                                                 파여진 곳의 그림자가 튀어나오는 곳의 그림자로 둔갑하는 점을 놓치지 않는 것입니다

                                                화가는 드로잉을  하거나 음영을 그릴 때 그런 착시를 느끼곤 하는데

                                                 이 점을 깊이 파고든 작가의 시선이 놀라울 뿐입니다

 

                                                 음은 양을 추구한다. 반대로 양은 음을 추구한다

                                                 음양이론을 빌지 않더러도 음과 양은 한 몸이죠.

                                                 세상의 존재는 늘 양면성을 지니는 것은 누구나 아는 이야길 겁니다

                                                 

                                                  박성식 작가의 작품은 빛의 방향, 또는 강 약에 따라 수없이 다른 장면을 연출합니다

                                                 그림은 하나인데 여러 모습으로 우리에게 다가오는 거죠

                                                 그래서일까  그의 작품은 보는 재미가 있습니다

                                                  다양한 시선으로 사물의 본질을 이야기하려 하는 것 같습니다 

                                                

                                                  사유에 따라 달라 보이는 것이 세상이니 말입니다

                         

 

 

 

 

 

 

 

 

 

 

 

 

 

 

                                       숲

 

 

 

 

 

                                                                                                                     천천히

 

 

 

 

 

                                                                                                                      가족사진

 

 

                        

                            이 작품은  가족사진 속에 숨겨진 그 많은 세월, 그리고 그 이야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린 누구나 오래된 가족사진을 들여다보며 인물을 통해 그 숨겨진 이야기를 읽어본 경험이 있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전시장을 찾으면 이 작품에서 특이한 경험을 하게 되는데요

                                  위에 말씀드린대로 

                                   음각으로 그려진 인물이 튀어나오기도 하고 숨기도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지금처럼 카메라에 담으면 또 다른 모습이 되기도 하죠

                                

                                   결국 제목처럼 나는 누구인가 누구일까를 반문하게 된다고 할까요

                                    작가의  철학이랄까 세계관을 잘 드러낸 작품으로 보였네요

 

 

 

 

                         

 

 

 

 

 

 

 

 

 

 

 

                         우린 어쩌면  

                        이 그림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 (학생)처럼

                       세상에 자신을 투영해 놓고 나는 누구인가 묻는 존재인지도 모릅니다

                        

                        시간과 존재,  존재로 인한 흔적(시간의 모습일 수도)이라는

                        어쩜 단순하면서 심히 어려운 사유를  각고의 노력으로 그려낸 그림이

                        하나하나 무게감있게 자리한 전시회  분명합니다,

 

                        작가는 더 많은 이야기를 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런데 그걸 다 알 필요는 없습니다

                        어쩜 그림은 그냥 보는 것입니다.

                        제 느낌이 다른 시선을 방해할지 몰라 망설여 지네요

                        일단 가볍게 여기까지 느껴봅니다

                       

                        아무튼  내 작은 눈이

                        패인 독특한 캔버스를 만나는 순간 

                         실제로도 크게 떠졌지만

                         그보다 작품을 통해 마음의 눈이 크게 떠진 멋진 전시였네요

 

                              - 칡뫼 김구-

 

 

 

 

 

 

 

'감상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정복수의 부산시절 』2017. 04. 20 ~ 2017. 05. 10  (0) 2017.04.20
에세이피아 겨울호에서  (0) 2017.01.15
나는  (0) 2015.10.27
서평/월척으로 사는 법  (0) 2015.09.07
허예 개인전  (0) 2015.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