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화 이야기

8월 하순 처서를 맞은 야생화

칡뫼 2011. 8. 23. 16:56

                               

                                 벌써 아침 저녁으로 선선한 기운이 돕니다

                                야생화를 만나러 나섰더니

                                가을 기운이 들녘에 서성이고 있었습니다

 

                                                   무릇이 한창 피어 있었습니다

                                      무릇은 어려서 뿌리를 달여 먹었던 생각이 납니다

                                       아릿한 단맛이죠

                                      

                               

           

                              쓴맛하면 떠오르는 익모초도 활짝입니다

                               들길을 걷다 이 꽃을 만나시면 잎을 따 입에 씹어보세요

                                 입은 쓰지만 밥맛이 좋아지실 겁니다

 

 

                                                 등골나물도 이젠 한창이었습니다

 

 

 

                    꽃모습을 보니   차풀입니다   비슷한 것으로 자귀풀이 있는데 우선 꽃색과 모습이 다르죠

                      구별하면 대단한 실력입니다

                     잎으로 차를 끓여 마실 수 있다고 차풀입니다

 

 

                               마타리도 막 피어나고 있습니다

 

 

 

                                                      숲속에 상사화가 피어있었습니다.

 

 

                      무릇인데요    

 

 

                    자세히 보았습니다   꽃 하나 하나 암술 수술이 보이시죠

 

 

 

 

                   깃동잠자리가 쉬고 있었습니다   가을냄새를 맡은 듯 합니다

 

 

 

                                           배초향네발나비입니다

 

 

                                        일찍 피었던 달맞이꽃은 벌써 열매 맺었네요

 

 

 

                               개여뀌도 보였구요

 

 

                                  새팥도 예쁘게 피고 있었습니다  

                            비슷한 이름으로  새콩이란 풀도 있는데 보라색꽃을 피웁니다

 

                                                     억새도 피어날 준비를 마쳤네요      

                                              어렸을 땐 저걸 뽑아서 멀리던지기를 하고 놀았죠

                                               풀에게 몹쓸 짓을 많이했죠

                                            

                   사실 이번 산책은 이 꽃을 만나고 싶어서 였지요           

                        활나물입니다  이맘 때 피는 아름다운 꽃이죠  

 

 

                            활나물

 

 

                 나물이란 이름이 붙었으니 먹는 야생초입니다 

                나물이란 이름이 붙었어도 못 먹는 풀이 많습니다--삿갓나물 같은 거요 독초입니다

 

 

                            싸리꽃

 

 

               벌초를 하여 그림처럼 민둥산이 되니 무덤가의 들풀은 요즘이 수난의 시기죠

                 하지만 사람은 효도도 해야하지요- 그래도 살아남은 무릇과 씨맺은 타래난초도 보이네요

 

 

 

                                          제가 좋아하는 개솔새가 피어나고 있었습니다

 

 

 

                                             도 피기 시작했습니다  

                                                 여기서 란 볏과 식물의 순 우리말 를 말하는 것입니다

 

 

                                          알레르기를 일으킨다는 돼지풀입니다  이풀은 1968년도쯤 보고 되었는데

                                북미원산으로 6,25후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현재 누구나 싫어하는 풀이죠

 

 

 

                                            미국쑥부쟁이도 하얀 꽃을 피우려고 채비를 마치고 있었습니다

                                    이것도 그리 오래되지 않은 수입종인데 번식력이 좋고

                                     그런대로 볼만하여 요즘 가을정취에 한몫하고 있죠

                                     

 

 

 

             방패 닮은 잎을 한 고마리도    조금후면 예쁜꽃을 피울 겁니다

 

 

 

                   아하--돌콩이 꽃을 피웠습니다            작지만 이름답습니다

 

 

 

                         가녀린 줄기에 한송이 꽃  끊임없이 피고 자라고 가을이 멀지 않았죠                            돌콩

 

 

 

 

                                          들에는 요즘 한창 왕고들빼기도 피어나고 있습니다  

 

 

 

               가을이 오고 있었습니다                    --칡뫼-

 

 

 

'야생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월초의 꽃  (0) 2011.09.06
다시 8월의 꽃  (0) 2011.08.28
단양에서 만난 야생화  (0) 2011.08.08
8월초의 여름꽃  (0) 2011.08.06
타래난초 배추흰나비  (0) 2011.07.29